• 이전 페이지
  • 부인과질환
  • 이전 페이지

자궁근종

Fibroid

자궁근종은 자궁 근층(myometrium)에 양성(benign)적인 평활근(smooth muscle)의 과다형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자궁의 민무늬근에서 생기는 양성 종양으로 난소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자궁 출혈, 동통, 빈혈, 현기증, 인접 장기의 압박감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자궁에서 보여지는 가장 흔한 양성적 종양입니다. 많은 경우 '자궁 물혹'이라고 하면 보통 자궁근종을 말하는데, 사실 이는 별거 아니라는 식으로 환자들을 안심시키기 위한 발언으로 실제론 전혀 물이 많은 종양이 아닙니다. 보통 진짜 '물혹'이라고 표현할만한 종양은 난소낭종 같은 낭 안에 물이 차있는 것이 적합합니다. 실제로 자궁근종은 세포와 섬유가 빽빽하고 단단한 조직입니다.

대장암

원인

여러 연구에서 자궁의 평활근을 이루는 세포 중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하나의 자궁근종을 이루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진 것이 없습니다.

증상

  • 근층 내 근종
  • 자궁근종이 발생하는 가장 흔한 곳으로, 말 그대로 자궁근층 안에 근종이 발생해 자궁벽에 갇혀있는 형태를 의미합니다. 이 근종이 작을 경우, 아무런 증상이 보이지 않으며 신체검사 시 촉진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 크기가 커지면서 정상적인 자궁의 윤곽(contour)이 뒤틀리게 됩니다.
  • 점막 하 근종
  • 이는 근종이 자궁내막(endometrium)의 바로 아래에서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사진에서 보여지듯 근종이 커지면서 자궁 내를 비틀게 됩니다. 뒤틀린 자궁은 이로 인해 호르몬에 정상적으로 반응하지 않기도 하는데, 이로 인해 다양한 증상이 보여지게 됩니다. 가장 흔히 월경관출혈(intermenstrual bleeding)이 발견되며, 이로 인해 빈혈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 외 월경과다(menorrhagia) 및 자궁출혈(metrorrhagia)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 장막 하 근종
  • 이는 근종이 자궁 장막층 바깥으로 돌출된 형태를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자궁 외면의 윤곽(external contour)이 뒤틀리게 되어 신체검사시 단단하고, 비대칭적인 자궁이 촉진될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이 근종이 어디에서 자라느냐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는데, 이 근종이 커지면서 자궁 주위의 장기인 방광(bladder)이나 직장(rectum), 혹은 요관(ureter)을 압박하여 관련 증상이 보여질 수 있습니다. 또한 유경성(pendunculated) 근종의 경우, 자궁에서 멀어지면서 대장이나 대망(omentum)의 혈액을 공급받아 자라기도 한다고 밝혀졌습니다.

치료

자궁근종을 완치하기 위해선 외과적 시술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수술 전에 호르몬 요법을 통해 근종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처음 3-6개월간 GnRH 유사 호르몬인 Leuprolide을 투여해 근종의 크기를 60-70% 정도 줄이게 됩니다. 중요한 점은, 이 호르몬 치료를 중단하자마자 근종이 다시 자라기 시작하며, 그동안 아무런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대략 6개월 안에 다시 원래 크기로 돌아온다는 것입니다. 그 후 출산 능력을 보존하느냐 안하느냐에 따라 시행할 수 있는 외과적 시술이 다릅니다.

자궁근종 로봇수술

자궁근종 로봇수술
로봇수술기를 통해 자궁을 적출하지 않고 보존한 상태에서 근종만 제거합니다. 근종의 크기가 자궁의 크기만큼 커도 안전하게 적출할 수 있고 정교한 봉합을 통해 가임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자궁으로 살릴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자궁근종 개복수술은 복부 아래쪽을 크게 절개하여 진행하는 반면에 로봇수술은 구멍 몇 개만을 통하여 수술이 진행되기 때문에 출혈, 감염 및 흉터 발생의 위험이 적고 흉터 걱정이 거의 없습니다.
  • 6대암등 국가건강검진
    지정 의료기관
  • 영유아검진
    지정 의료기관
  • 산업재해 지정 의료기관
  • 사전연명의료 의향서
    등록기관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지정
    의료기관
  • 호흡기전담클리닉
    지정 의료기관
  • 대한하키협회
    국가대표 지정 의료기관
  • 6대암등 국가건강검진
    지정 의료기관
  • 영유아검진
    지정 의료기관
  • 산업재해 지정 의료기관
  • 사전연명의료 의향서
    등록기관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지정
    의료기관
  • 호흡기전담클리닉
    지정 의료기관
  • 대한하키협회
    국가대표 지정 의료기관
전화걸기
오시는길
진료서비스 닫기
전체 진료과안내 닫기